URI (Uniform Resource Identifier) ?
리소스를 구별하는 통합된 방법정도라고 보면 된다.
URI, URL, URN이 있는데
URI 는 로케이터, 이름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 될 수 있다.
자원을 식별하는 방법이 되겠다.
Resource Locator : http://example.com~~~
->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
Resource Name : urn://example:animal ~~~
->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, 이름으로만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아서 어려움
URL 분석
https://www.google.com/search?q=hello&hl=ko
헬로
아델의 노래
www.google.com
문법:
프로토콜://호스트명:포트번호/패스/쿼리파라미터
http 는 80 포트
https 는 443 포트를 쓰는데
생략되어 보여진다.
리소스 경로는 계층적인 구조로 되어있다.
ex) /members/100
쿼리 파라미터는 뭐야?
key = value 형태로 되어있고
?로 시작하며 & 로 추가할 수 있다. 웹 서버에 제공하는 파라미터로 문자형태로 넘어간다.
이제 url 이 뭔지 알았으니 http 의 흐름에 대해 알아봐보자
위 그림처럼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http는 요청 메세지를 생성하게 된다.
그 내용에는 GET/search?q=hello&hi=ko HTTP/1.1 Host:www.google.com
이 모양으로 만들어지게 된다.
패킷 정보가 이제 서버로 흘러들어가고 다시 대답을 해주게 되는거다.
그럼 서버는 성공적인 연결이라면 이렇게 응답을 다시 보내준다.
응답을 받으면서 클라이언트에서는 저 html을 열게 되는거고 해당 검색 결과를 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~!
참고:
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http-%EC%9B%B9-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/dashboard
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| 김영한 - 인프런
김영한 |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., [사진] 📣 확인해주세요!본 강의는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의 세 번째 강의입니다. 우아한형제들 최연
www.inflearn.com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웹 기본 지식(4) - HTTP 메서드 (0) | 2024.06.20 |
---|---|
HTTP 웹 기본 지식 (3) - HTTP 기본 (0) | 2024.06.20 |
HTTP 웹 기본 지식 (1) - 인터넷 네트워크 (3) | 2024.06.19 |
[Jenkins] Jenkins GitLab 연동하기 (0) | 2023.03.06 |
[리눅스] Unknown command: service (0) | 2023.03.03 |